찰 (음료)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찰은 우유를 발효시켜 만든 음료이다. 찰은 신선한 우유보다 유당 함량이 낮고 젖산 함량이 높으며, 바이러스 살균 및 억제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. 찰에는 젖산균, 연쇄상구균, 효모 등의 유익균이 포함되어 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투르크메니스탄 요리 - 탄두르
탄두르는 흙으로 만든 원통형 오븐으로, 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음식을 조리하는 데 사용되며, 탄두리 치킨과 같은 요리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. - 투르크메니스탄 요리 - 바클라바
바클라바는 얇은 페이스트리 반죽 필로에 버터와 견과류를 넣어 구운 후 시럽을 뿌려 만드는 달콤한 후식으로, 플라센타 케이크, 라우지나즈, 중앙 아시아 튀르크족의 빵 등 다양한 기원설이 있으며, 지역별로 고유한 변형이 존재하고 튀르키예의 가지안테프 바클라바는 유럽 연합의 지리적 표시 보호를 받았다. - 발효 음료 - 양조주
양조주는 녹말이나 당분 함유 원료를 발효시켜 만든 술로, 발효 방식에 따라 당분 원료를 효모로만 발효하는 단발효주(와인 등)와 녹말을 당화 후 발효하거나 당화와 발효를 동시에 진행하는 복발효주(맥주, 사케 등)로 나뉜다. - 발효 음료 - 포도주
포도주는 신석기 시대부터 양조된 것으로 추정되는, 포도를 발효시켜 만든 알코올성 음료로서 고대 문명에서 소비되었고 중세 유럽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종류가 생산되고 있다. - 발효 유제품 - 요구르트
요구르트는 우유를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발효유제품으로, 유목민의 우유 보존 방식에서 기원하여 건강 효능이 알려지면서 널리 소비되며 단백질, 칼슘, 유산균을 함유하고 유당불내증 완화에 효과적이지만, 높은 설탕 함량의 가공 요구르트는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. - 발효 유제품 - 아이란
아이란은 요구르트에 물과 소금을 섞어 만든 중앙아시아 튀르크족의 전통 음료이며, 지역에 따라 제조법에 차이가 있다.
찰 (음료) - [음식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기본 정보 | |
이름 | 찰 |
다른 이름 | 슈바트 |
로마자 표기 | Chal |
음성 표기 | |
종류 | 발효유 |
주재료 | 낙타젖 |
지역 | 투르크메니스탄, 우즈베키스탄, 카자흐스탄 |
![]() |
2. 제조 방법
찰은 일반적으로 이전 발효된 우유를 첨가하여 낙타젖 또는 젖소젖을 발효시켜 만든다. 전통적으로는 가죽 자루나 세라믹 단지에 낙타 우유를 발효시켜 만들었지만, 현대에는 배양균을 사용하기도 한다. 낙타 우유는 10°C 미만의 온도에서는 최대 72시간 동안 발효되지 않지만, 30°C에서는 약 8시간 만에 발효된다 (젖소 우유는 3시간 이내에 발효됨).
낙타 우유와 낙타 찰의 성분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.[7]
낙타 우유 | 찰 | |
---|---|---|
산도 | 18°D | 28°D |
지방 | 4.3% | 4.3% |
유당 | 2.75% | 1.32% |
무지방 고형분 | 8.2% | 6.6% |
회분 | 0.86% | 0.75% |
에틸 알코올 | 1.1% | |
아스코르브산 | 5.6mg% | 4.8mg% |
도르닉 산도(Dornic acidic degrees)는 유제품의 산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, 1 도르닉 도(1°D)는 리터당 0.1g의 젖산과 같다.[8] 찰에는 젖산균, 연쇄상구균 및 효모가 포함되어 있다.[9]
2. 1. 전통 방식
찰은 이전 발효된 우유를 가죽 자루나 세라믹 단지에 넣고, 낙타 우유를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방식으로 준비한다. 신선한 우유를 3~4일 동안 혼합하며, 이렇게 숙성된 찰은 이전 발효된 우유의 1/3에서 1/5 정도를 차지한다.[6]2. 2. 현대적 방식
락토바실러스 카제이(''lactobacillus casei''),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필루스(''streptococcus thermophilus''), 유당 발효 효모를 배양하여 찰을 만들 수 있다. 25°C에서 8시간 동안 우유에 접종하여 배양한 다음, 20°C에서 16시간 동안 배양한다. 홀더 살균법은 우유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, 85°C에서 5분간 살균하면 맛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. 락토바실러스 카제이,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필루스, 토룰라 종의 순수 배양으로 만든 찰은, 찰을 만드는 데 사용된 우유보다 무지방 고형분과 유당이 현저히 적다.[10]3. 성분 및 특징
찰은 신선한 우유에 비해 유당 함량이 낮고, 젖산 함량이 높다. 발효된 찰은 바이러스 살균 및 바이러스 억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, 이는 액체 및 동결 건조 형태 모두에서 나타나며, 보관 기간에 영향을 받지 않는 특징이다.
낙타젖은 10°C 미만의 온도에서는 최대 72시간 동안 발효되지 않으며, 30°C에서 약 8시간 만에 발효된다(젖소 우유는 3시간 이내에 발효됨).
찰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(lactobacillus casei),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필루스(streptococcus thermophilus), 유당 발효 효모로 배양할 수 있으며, 25°C에서 8시간 동안 접종된 우유에서 배양한 다음, 20°C에서 16시간 동안 배양한다. 홀더 살균법은 우유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, 85°C에서 5분 동안 살균하면 맛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. 락토바실러스 카제이,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필루스, 토룰라 종의 순수 배양으로 만든 찰은 그것으로 만들어진 우유보다 현저히 적은 무지방 고형분과 유당을 가지고 있다.[10]
3. 1. 낙타젖 찰과 낙타젖 비교
낙타젖 | 찰 | |
---|---|---|
산도 | 18°D | 28°D |
지방 | 4.3% | 4.3% |
유당 | 2.75% | 1.32% |
무지방 고형분 | 8.2% | 6.6% |
회분 | 0.86% | 0.75% |
에틸 알코올 | 1.1% | |
아스코르브산 | 5.6mg% | 4.8mg% |
도르닉 산도(Dornic acidic degrees)는 유제품의 산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, 1 도르닉 도(1°D)는 리터당 0.1g의 젖산과 같다.[8]
3. 2. 유익균
찰에는 젖산균, 연쇄상구균, 효모를 비롯한 다양한 유익균이 포함되어 있다.[9]4. 살균
찰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(lactobacillus caseila),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필루스(streptococcus thermophilusla), 유당 발효 효모로 배양할 수 있다. 25 °C (25°C)에서 8시간 동안 접종된 우유에서 배양한 다음, 20 °C (20°C)에서 16시간 동안 배양한다. 홀더 살균법은 우유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, 85 °C (약 85.0°C)에서 5분 동안 살균하면 맛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.[10] 락토바실러스 카제이,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필루스, 토룰라 종의 순수 배양으로 만든 찰은 그것으로 만들어진 우유보다 현저히 적은 무지방 고형분과 유당을 가지고 있다.[10]
5. 한국에서의 찰
찰은 한국에서는 아직 생소한 음료이다. 하지만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찰에 대한 연구와 문화 교류가 점차 이루어지고 있다.
참조
[1]
서적
Nomads and the outside world
https://archive.org/[...]
Univ of Wisconsin Press
1994-05-15
[2]
서적
Reference module in food sciences
Elsevier
2016
[3]
서적
Impact of Pollution on Animal Products (NATO Science for Peace and Security Series C: Environmental Security)
Springer
[4]
웹사이트
Great Culinary Dictionary. Chal in Russian, retrieved April 11, 2007
http://foodfind.ru/d[...]
2007-04-11
[5]
뉴스
I.Barkhanov. Neutral Turkmenistan newspaper, in Russian, August 9, 2001
http://turkolog.naro[...]
[6]
뉴스
Prof Zafar Iqbal Chaudhary & Dr Shahan Azeem, Is camel milk good for human health? DAWN Sci-tech world, October 9, 2004
http://www.dawn.com/[...]
[7]
간행물
Composition of camel milk and chal
[8]
PDF
http://www.idfdairyn[...]
2022-03
[9]
간행물
Bacteriological examination of chal
[10]
간행물
The utilisation of camels' milk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